본문 바로가기

한국의 불가사의

정교한 별자리의 그림, 천상열차분야지도

정교한 별자리의 그림, 천상열차분야지도

 국립고궁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국보 제 228호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는 조선 태조 4년(1395년)에 태조의 명에 따라 권근 등 12인의 천문학자들이 수년간의 노력으로 천문도를 완성하고 이를 대리석 돌판에 새긴 것이다.

 현존하는 것 중 중국의 순우천문도(淳祐天文圖, 1247년)에 이어 세계에서 두번째로 오래된 석각 천문도이다. 가로 122.8cm, 200.9cm, 두께 11.8cm의 검은 대리석에 새긴 천문도는 현재 그 표면이 심하게 마모되어 상태가 좋은 편이 아니다. 글자는 판독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고 돌판 위쪽 끝의 두 모서리는 깨져 나가고 없다.

숙종 때 천상열차분야지도 탁본(숙종 때 천상열차분야지도 탁본 - 출처 : 나무위키)

 천상열차분야의 천상(天像)은 하늘의 형체이고 열차(列次)는 황도 부근을 12지역으로 나눈 12차이며 분야(分野)는 이에 대응하는 지상의 지역을 의미한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천상도, 열차도, 분야도라는 세 지도를 합친 것이라 할 수 있다.

 지도의 아랫단에 적힌 권근의 설명에 따르면 옛날 평양성에 고구려의 석각 천문도가 있었는데 고구려 말기 당나라와의 전쟁 중에 강물에 빠져서 잃어버린 것이 오래이며 그 인본(印本, 인쇄된 책)도 전해지지 않았다. 그러다가 태조가 조선을 새롭게 개창하자 그 인본을 가지고 있던 자가 그것을 바쳤고 태조가 서운관에 명하여 이 천문도를 세차운동에 따라 달라진 별들의 위치를 수정하여 새롭게 석각하였다고 한다.

 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282개의 성좌에 1467개의 별이 들어 있다. 북극점을 중심으로 천체를 평면에 옮겨 놓은 것인데 각각의 별들이 비교적 정확하게 제자리에 그려져 있으며 춘분점과 추분점의 위치, 28수의 기준별에 대한 좌표, 황도와 적도의 경사각, 황도와 백도의 경사각에 대한 값이 수치로 나타나 있다.

 황도를 12로 나는 것은 황도 위를 태양이 일주하는 동안 만월이 열두 번 나타나서, 곧 1년이 12개월이기 때문이다. 또, 28수는 달이 매일 이동하는 위치를 천구 위에 구성하면 28일 만에 일주하게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달이 하늘을 일주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27.3217일인데 엄밀한 의미에서는 27일이 더 정확하다. 그러나 28수를 사용하면 4로 나누어 떨어지기 때문에 편리하므로 27수보다 28수가 정착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숙종 때 천상열차분야지도 필사본(숙종 때 천상열차분야지도 필사본 - 출처 : 문화재청)

 천상열차분야지도에서 특징적인 것은 별자리를 구분하는 데 형상적 수법을 쓴 것이다. 좌청룡, 우백호, 남주작, 북현무를 각 방향에 배치하고 이 4개 방면을 각각 7개씩 분구로 나누어 28수를 두었는데 청룡과 백호의 머리 부분은 남쪽을 향하고 꼬리 부분은 북쪽을 향해 있으며, 현무와 주작의 머리 부분은 서쪽을 향하고 꼬리 부분은 동쪽을 향해 있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하늘의 별들을 여러 갈래로 분류하고 거기에 알맞은 이름을 붙였으며 북극성을 기준점으로 모든 별을 그렸다. 또 황도, 적도, 은하도 천문 현상 관측에 따라 배치하였으며 사계절 동안 관측하여 볼 수 있는 모든 별과 은하 구역을 단 하나의 그림에 담아냈다.

 그런데 천상열차분야지도가 정말 고구려 시대 유물인지 학계에서 논란이 일었다. 그리고 태조 때 당시의 하늘을 직접 관측하여 천문도의 원본 일부를 수정했는가도 의문이었다.

 학계에서는 고구려의 천문 지식수준으로 전천(全天) 천문도를 만들 수 없었고 조선 초에도 새로 별자리를 관측하여 천문도를 수정할 만한 기술과 여유가 없었다며 천문도의 유래를 부정하는 의견이 많았다. 천상열차분야지도는 조선을 세운 이성계의 혁명을 합리화하려는 정치적 목적의 산물이고 중국의 천문도에서 따온 것이라고 했다.

 통일 신라 시대에 ‘삼가성도’라는 당나라 천문도가 유입되었다는 삼국사기의 글을 근거로 조선 초에 고구려에서 전래된 천문도 원본이 있었다면 당나라에서 보낸 천문도일 수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천문도가 당나라에서 유입되었다는 기록은 고구려가 멸망한지 24년이 지난 뒤의 것이고 당시 고구려와 당은 전쟁을 벌이고 있었으므로 가능성이 낮다는 반론도 있다.

 이처럼 논란이 끊이지 않자 학자들이 두 천문도의 별자리 형식을 꼼꼼히 대조, 분석했는데 공통점보다 차이점이 훨씬 많다는 결과가 나왔다.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새긴 별들은 실제 별의 밝기에 따라 그 크기도 각각 다르게 표현되어 있는데 다른 천문도보다 정확하다고 한다. 이는 천상열차분야지도가 중국 천문도를 베낀 것이 아니라 독자적인 관측에 기초한 천문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참고자료 : 한국 7대 불가사의(2007년, 이종호 저, 역사의아침, p37-47)

한국7대 불가사의
국내도서
저자 : 이종호
출판 : 역사의아침 2007.03.20
상세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