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반목

(공룡백과) 이 - 어원 : Yi qi, 翼奇, 기이한 날개 - 분류 : 용반목 - 수각류 - 크기 : 60cm - 시기 : 쥐라기 후기 - 지역 : 아시아(중국) - 먹이 : 육식성 이(Yi)는 쥐라기 후기에 중국 허베이성의 티아오지샨(Tiaojishan) 지층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스칸소리옵테릭스과의 단일 화석 표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공룡으로서는 처음으로 비막을 가지고 있었고 날다람쥐처럼 활공을 할 수 있었습니다. 이전에는 비행용 깃털을 활용해 활강하는 공룡은 많이 발견되었지만, 이런 형태의 구조는 처음으로 발견된 공룡입니다. 비막을 지탱하는 구조물은 손목뼈에서 뻗어나온 것이었습니다. 독특하고 길쭉한 세 번째 발가락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는 피부로 이루어진 막질 활공면을 지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발의 .. 더보기
(공룡백과) 이사노사우루스 - 어원 : Isanosaurus, 이산 도마뱀- 분류 : 용반목 - 용각류- 크기 : 6.5m- 시기 : 트라이아스기 후기- 지역 : 아시아(태국)- 먹이 : 초식성 이사노사우루스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동남아에서 살았던 용각류 공룡입니다. 이름은 ‘이산 도마뱀’이라는 뜻이며 이산은 태국 북동부 지역입니다. 화석이 불완전하여 아직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종입니다. 대퇴골이 76cm로 이를 바탕으로 크기를 추정해 보면 6.5m 정도의 작은 체구를 가졌을 것으로 보입니다.화석의 발견 이사노사우루스의 화석은 태국 북동부지역의 남퐁 지층(Nam Phong Formation)의 검붉은 사암에서 발견되었습니다. 1998년 발견 당시, 안타깝게도 골격의 대부분은 침식된 상태였습니다. 2000년 프랑스 .. 더보기
(공룡백과) 판파기아 - 어원 : Panphagia, 무엇이든 먹는 것 - 분류 : 용반목 - 용각류 - 크기 : 1.5m - 시기 : 트라이아스 후기 - 지역 : 남아메리카(아르헨티나) - 먹이 : 잡식성 2006년에 화석이 발견된, 원시용각류에 속하는 공룡입니다.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지금의 아르헨티나에서 살았으며 이름은 ‘무엇이든 먹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초기 용각류는 육식 또는 잡식성의 특성을 보이고 있어 이런 이름이 붙었습니다(이름은 2009년에 붙여진 것입니다). 화석의 발견 판파기아의 화석은 2006년말 아르헨티나 고생물학자인 리카르도 마르티네즈(Ricardo N. Martínez)에 의해 산후안 주의 이시구알라스토 지층 암석에서 발견되었습니다. 화석은 2억 3천만년 전의 화산재 층과 거의 유사한 위치에서 발견되.. 더보기
(공룡백과) 자넨스키아 - 어원 : Janenschia, 야넨쉬의 것 - 분류 : 용반목 - 용각류 - 크기 : 24m - 시기 : 쥐라기 후기 - 지역 : 아프리카(탄자니아) - 먹이 : 초식성 자넨스키아는 쥐라기 후기(1억 5500만년 전) 탄자니아 린디 지역의 텐다 구루 지층에서 발견된 대형 초식성 용각류입니다. 4족 보행을 하는 이 초식공룡의 몸길이는 24m로 추정됩니다. 이름은 독일 고생물학자인 베르너 야넨쉬(Werner Janensch)의 이름에서 유래하여 ‘야넨쉬의 것’이라 이름지었습니다. 자넨스키아, 복잡한 이름의 역사 하지만 처음부터 자넨스키아라는 이름을 가진 것은 아니었습니다. 조금은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1907년, 에버하르트 프라스(Eberhard Fraas)는 거대한 용각류의 두개골 2개를 발.. 더보기
(공룡백과) 토르보사우루스 - 어원 : Torvosaurus, 야만적인 도마뱀 - 분류 : 용반목 - 수각류 - 크기 : 9-12m - 시기 : 쥐라기 후기 - 지역 : 북아메리카(미국), 유럽(포르투갈) - 먹이 : 육식성 토르보사우루스는 ‘야만적인 도마뱀’이라는 의미로 수각류에 속하는 육식공룡입니다. 쥐라기 후기에 서식하였으며, 북아메리카, 유럽 등지에서 발견되었습니다. 모식종인 미국 모리스 층에 살았던 종은 몸길이 9m, 몸무게 2-3톤으로 보입니다. 포르투갈에서 발견된 종은 몸길이 10-12m, 몸무게는 최대 5-6톤으로 추정됩니다. 토르보사우루스 화석의 발견 토르보사우루스의 화석은 1899년 미국 와이오밍 남동부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왼쪽 뒷발, 오른쪽 앞발의 일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카고 필드자연사 박물관으로 옮.. 더보기
(공룡백과) 그나토보락스 - 어원 : Gnathovorax, 게걸스러운 턱 - 분류 : 용반목 - 수각류 - 크기 : 3m - 시기 : 트라이아스기 후기 - 지역 : 남아메리카 - 먹이 : 육식성 그나토보락스는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남아메리카에서 살았던 공룡으로 ‘게걸스러운 턱’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졌습니다. 2021년을 기준으로 가장 최근에 발견된 헤레라사우루스 무리의 공룡입니다. 2019년에 처음으로 학계에 보고되었습니다. 화석의 보존률이 높아서 두개골 내의 연조직까지 복원이 가능할 정도라고 합니다. 몸길이는 3m 이상으로 원시 용반목 공룡의 일종으로 추정됩니다. 더보기
(공룡백과) 수스키티라누스 - 어원 : Suskityrannus, 코요테 폭군 - 분류 : 용반목 - 수각류 - 크기 : ? - 시기 : 백악기 후기 - 지역 : 북아메리카(미국) - 먹이 : 육식성 수스키티라누스는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수각류 공룡입니다. 화석이 발견된 지역에 거주하던 주니 족의 언어로 코요테를 뜻하는 Suski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코요테 폭군’이라는 뜻입니다. 발견된 화석은 모두 어린 개체로 여겨지는데 몸길이 3m, 키는 1m, 몸무게는 20~40kg 정도로 추정됩니다. 다른 티라노사우루스무리와 비교해서 두개골이 가늘고 폭이 좁았으며, 발도 폭이 좁았습니다. 더보기
(공룡백과) 타나토테리스테스 - 어원 : Thanatotheristes, 죽음의 사신 - 분류 : 용반목 - 수각류 - 크기 : 8m - 시기 : 백악기 후기 - 지역 : 북아메리카(캐나다) - 먹이 : 육식성 타나토테리스테스는 백악기 후기에 북아메리카에서 살았던 수각류 공룡입니다. 티라노사우루스 무리로 캐나다 앨버타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습니다. 캐나다에서 발견된 공룡 중 티라노사우루스 무리로는 가장 오래된 종으로 추정됩니다. 2010년 강가에서 우연히 발견되었으며, 다른 티라노사우루스 무리와 비교했을 때 위턱의 수직 치조골이 특징적입니다. 티라노사우루스 무리의 진화 단계에서 간극을 메워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