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익룡

(공룡백과) 크리오린쿠스 - 어원 : Criorhynchus, 산양의 주둥이- 분류 : 익룡 - 프테로닥틸로이드류- 크기 : 5m- 시기 : 백악기 중기- 지역 : 유럽(영국) 크리오린쿠스는 백악기 중기에 유럽에서 살았던 공룡입니다. 몸집이 매우 컸지만 몸무게는 가벼웠습니다. 기다란 주둥이는 앞이 둥그렇게 마무리되어 있고 위아래로 날카로운 이빨이 나 있어 물고기를 잡기에 편리했습니다. 1860년대에 화석이 발견된 아주 오래된 익룡으로 주둥이 끝 부분의 화석만 발견된 상태라 아직 정확한 모습은 알 수 없습니다. 주로 바닷가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더보기
(공룡백과) 프레온닥틸루스 - 어원 : Preondactylus, 프레온의 손가락- 분류 : 익룡 - 람포린코이드류- 크기 : 1.5m- 시기 : 트라이아스기 후기- 지역 : 유럽(이탈리아) 프레온닥틸루스는 이탈리아 프레온 지방에서 발견되어 ‘프레온의 손가락’이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서식한 익룡의 일종으로 오늘날 유럽 대륙에서 서식하였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익룡 중 비교적 작고 원시적인 종입니다. 람포린쿠스와 비슷하게 생겼고 꼬리는 길었습니다. 몸집이 작아 지금의 새처럼 날갯짓을 하며 하늘을 날았습니다. 입은 작지만 원뿔형의 작지만 날카로운 이빨이 나 있어 미끄러운 물고기를 잡기에 알맞았습니다. 땅에 내려와 곤충 등도 잡아 먹었습니다. 더보기
(공룡백과) 안항구에라 - 어원 : Anhanguera, 옛날 악마- 분류 : 익룡 - 프테로닥틸로이드류- 크기 : 4m- 시기 : 백악기 후기- 지역 : 남아메리카(브라질) 안항구에라는 백악기 후기 남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했던 익룡입니다. 화석은 브라질에서 발견되었습니다. 긴 주둥이에는 날카로운 이빨이 늘어서 있습니다. 아래턱과 위턱에는 볏이 있어 물속에 주둥이를 넣고 물고기를 잡을 때 방향타 구실을 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늘을 날기에는 몸집이 무척 컸지만 뼛속이 비어 있어 몸무게는 무겁지 않았습니다. 날갯짓을 하며 날기보다는 바람을 타고 행글라이더처럼 날아올랐습니다. 바닷가 절벽에 살며 물위를 날다가 수면으로 올라온 물고기를 잡아 먹었습니다. 더보기
(공룡백과) 포베토르 - 어원 : Phobetor, 두려움의 신- 분류 : 익룡 - 프테로닥틸로이드류- 크기 : 1-2m- 시기 : 백악기 전기- 지역 : 아시아(몽골) 포베토르는 고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꿈의 신 ‘이켈루스’의 다른 이름으로 위협하는 자 또는 ‘두려움의 신’이라는 뜻입니다. 프테로닥틸로이드류에 속하는 익룡으로 날개를 편 길이가 약 1-2m이며 주로 바닷가나 큰 호숫가에 살며 물고기를 잡아먹었습니다. 듕가리프테루스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절반 정도의 크기를 가지고 있으며, 부리가 곧게 뻗어 있고 머리 뒤쪽에 돌기가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부리 위에 볏이 발달해 있으며 박쥐 모양의 날개뼈와 날개막을 가지고 있어 비행이 가능했습니다. 주둥이에는 짧지만 날카로운 이빨이 나 있습니다. 꼬리는 매우 짧고 몸이 가벼워 하.. 더보기
(공룡백과) 그나토사우루스 - 어원 : Gnathosaurus, 턱 도마뱀- 분류 : 익룡 - 람포린코이드류- 크기 : 1.5-2m- 시기 : 쥐라기 후기- 지역 : 유럽(독일) 그나토사우루스는 ‘턱 도마뱀’이라는 이름처럼 주둥이가 길고 날카로운 이빨이 한 줄로 나란히 나 있습니다. 이러한 이빨들은 주둥이 쪽으로 갈수록 커집니다. 주둥이 위에는 뼈로 된 얇은 볏이 달렸는데 그 용도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바닷가나 호수에서 물고기를 잡아 먹고 살았습니다. 1832년 독일에서 처음으로 화석이 발견되었을 때는 턱 조각만 있었기 때문에 당시 학자들은 이것을 악어의 것으로 오인하였습니다. 후에 이것이 익룡의 것으로 밝혀졌으며 1951년에 완전한 성체의 것으로 보이는 두개골이 발견되었습니다. 더보기
(공룡백과) 닉토사우루스 - 어원 : Nyctosaurus, 밤 도마뱀- 분류 : 익룡 - 프테로닥틸로이드류- 크기 : 2-3m- 시기 : 백악기 후기- 지역 : 북아메리카(미국) 닉토사우루스는 미국 캔자스 지역의 바닷가에서 살았으며 같은 시대에 살았던 프테라노돈보다 크기가 작습니다. 머리 뒤쪽에 뾰족하게 생긴 큰 볏이 있습니다. 이 볏은 암컷보다 수컷이 더 큰데 하늘을 날 때 방향과 균형을 잡는 역할을 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긴 꼬리를 가진 원시적인 람포린코이드류에 비해 매우 짧은 꼬리와 가벼운 몸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닷가 절벽에 살며 상승 기류를 이용해 날갯짓을 하지 않고 날았습니다. 이빨이 없는 길쭉한 주둥이로 물고기를 잡아 먹었습니다. 더보기
(공룡백과) 페테이노사우루스 - 어원 : Peteinosaurus, 날개를 가진 도마뱀- 분류 : 익룡 - 람포린코이드류- 크기 : 60cm- 시기 : 트라이아스기 후기- 지역 : 유럽(이탈리아) 페테이노사우루스는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유럽에서 살았던 익룡입니다. ‘날개를 가진 도마뱀’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이탈리아에서 화석이 발견되었습니다. 몸 전체길이는 약 60cm정도로 추정되며, 현재까지 불완전한 두개골과 부분적인 골격만이 발견되었습니다. 유디모르포돈과 비슷하게 생겼으며 입이 길고 날카로운 이빨이 나 있습니다. 몸집에 비해 날개가 발달하여 자유롭게 날갯짓을 하며 날아다녔습니다. 먹이는 주로 물고기를 먹고 살았습니다. 꼬리가 길고 끝에는 방향을 조절하는 수직 날개가 달려 있습니다. 더보기
(공룡백과) 투판닥틸루스 - 어원 : Tupandactylus, 투판의 손가락- 분류 : 익룡 - 프테로닥틸로이드류- 크기 : 6m- 시기 : 백악기 전기- 지역 : 남아메리카(브라질) 투판닥틸루스는 머리에 커다란 볏이 달려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머리 끝에서 길어진 볏과 부리 끝의 뼈를 연결하는 피부막으로 이루어진 형태입니다. 이 볏의 용도에 대해서는 비행에 도움을 주었다는 학설이 제기되었었는데 현재는 이성을 유혹하는 과시용으로 사용되었다는 설이 더 지지를 받고 있습니다. 발견된 화석의 아랫부리 끝에서 현생 조류와 비슷한 각질의 흔적이 발견되었고, 다른 표본에서는 턱에서 익룡의 털인 피크노 섬유의 흔적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각질 부리 부분은 아랫 부리의 작은 볏까지만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른 익룡들과 비교해 짧은 부리를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