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화성의 미스터리 화성의 미스터리 태양계의 4번째 행성인 화성(Mars). 화성은 지름이 지구의 절반 정도이며 지구보다는 태양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기온이 영하 70도까지 내려가는 행성이다. 화성은 고대 그리스인들에게는 전쟁과 군대의 신인 마르스(Mars)의 별로 불길하고 액운을 가져다 주는 행성이었지만, 동시에 마르스는 통신과 무역의 신이기도 해서 화성에 고도의 문명이 존재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추측을 갖게 한다. 17세기 경 망원경이 개발된 후 화성을 관측해 본 결과 지구와 같이 계절의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가져 왔다. 그리고 1870년대 이탈리아 밀라노 천문대의 스키아 파렐라는 망원경을 통하여 화성 표면에서 운하를 발견하였고, 미국의 천문학자 로웰은 소백개이 화성 운하를 지도로 표기하였다. 화성에 거대한 운하.. 더보기 달의 의혹 달의 의혹 어두운 밤 하늘을 밝혀주는 달. 달은 밤하늘의 신적인 존재였다. 신화와 전설, 문학과 예술의 대상이었으며 태양과 더불어 인간의 삶을 주관하는 존재였던 것이다. 우리는 달을 신비로운 경외의 대상으로 생각했었다. 인간의 달 정복은 이러한 생각을 종식시켰다. 달은 지구의 위성에 불과하며 달토끼가 방아를 찧고 있을 것이라던 달의 표면은 운석에 얻어맞은 크레이터 투성이었다. 달에 대해서 인류가 조금씩 알게 되면서 달이 가진 어떤 수수께끼를 알게 되었다. 달에는 인공적인 구조물이 있고, UFO기지가 있다는 것이 그것이다. 과연 달에는 무엇이 있는 것인가?1. 달의 각 명칭일단 달의 각 지명에 붙여진 이름을 알아보자. 위에 있는 사진과 일치하는 번호가 그 이름이다. 1. 맑음의 바다, 2. 고요의 바다, .. 더보기 공룡에 관한 의문들 공룡에 관한 의문들 우리가 공룡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증거는 화석밖에 없다. 그것도 불완전한 상태의... 그러다 보니 지금까지 알려진 사실이 진짜인지는 확인할 방법이 없다. 언제든지 새로운 화석이 발견되면 그것의 모습에 따라 새로운 학설이 제기될 수도 있다. 여기서는 지금까지의 지식에 반대되는 새로운 가설들을 통하여 공룡에 관한 의문들을 알아보도록 하자. 1. 공룡은 온혈동물인가? 포유류는 스스로 열을 생산하여 체온을 높이고 그것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내온성이자 항온성의 온혈성 동물이다. 열대어는 열을 생산할 수는 없고 살고 있는 환경의 온도가 높고 잘 변하지 않으므로 높은 체온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외온성이지만 항온성이자 온혈성 동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악어나 도마뱀같은 파충류는 기온이 내려가면 체온도 .. 더보기 공룡은 왜 멸종하였는가? 공룡은 왜 멸종하였는가? 지금으로부터 6500만년 전에 약 2억년에 걸쳐 번영해온 공룡이 멸종하였다. 공룡은 이제까지 약 600여종류가 알려져 있는데 그것들이 모두 트라이아스기에 일제히 나타난 것은 아니다. 또 백악기 말기에 일제히 멸종된 것도 아니다. 공룡은 마지막 1000만년을 통하여 서서히 멸종되어 갔다. 이러한 사실을 놓고서도 일제히 멸종한 것으로 과학자들의 주목을 끈 것은 동시에 해양 동물의 66%(90과)가 멸종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공룡이 지금의 생물들과 달리 모습이 특이했다는 것과 개체가 줄어드는 기간이 다른 동물들에 비해 급격했다는 것이 사람들의 흥미를 끌고 있다. 공룡의 집단 소멸에 대해서는 60가지 이상의 학설이 제시되어 있지만 아직까지 확실하게 모든 상황을 설명할 수 있는 학설은.. 더보기 공룡과 관련된 용어 공룡과 관련된 용어 공룡에 관련된 용어라고는 하지만 지질학적인 용어와 생물학적 용어들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을 미리 밝혀둡니다. 내용이 길어서 일일이 읽기가 어려우므로 원하는 용어를 브라우저의 찾기 기능(Ctrl+F)을 통해 입력해서 확인해 보세요. - 1 - 2족 보행(Biped) 뒷다리만으로 서서 걷거나 달릴 수 있는 동물을 말한다. 2차적인 공기통로(Secondary Palate) 포유류나 악어류, 일부의 공룡에서 발견할 수 있는 구조로 입 천장에 형성되어 있는 뼈로 목구멍과 기도가 분리되는 구조를 말한다. 4족 보행(Quadruped) 네 개의 다리를 이용하여 서서 걷던 동물을 말한다. - 가 - 갑주어류(甲胄魚類, armored fishes) 몸의 표면이 단단한 비늘과 갑옷처럼 딱딱한 골질(骨質).. 더보기 공룡의 분류(4) - 수장룡과 어룡 공룡의 분류 - 수장룡과 어룡 공룡이란 중생대의 대형 파충류 가운데 육지에서 생활한 것만을 가리킨다. 익룡(翼龍)이나 어룡(漁龍), 수장룡(首長龍) 등을 공룡의 무리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은 다른 계통이다. 정확하게는 골반의 형태에 따라 분류한 용반목(龍盤目)과 조반목(鳥盤目) 무리만이 공룡으로 정의되고 있다. 공룡의 분류나 계통도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다른 견해를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통일된 것은 없다. 엄밀한 의미에서 공룡은 아니지만 여기서는 수장룡과 어룡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수장룡(首長龍) 수장룡은 가장 잘 알려진 해양 파충류의 하나이다. 다리는 모두 물갈퀴로 변형되어 있으며, 어깨뼈와 골반뼈들이 넓게 확장된 것을 볼 때 헤엄치는데 필요한 강력한 근육이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과거에는 수.. 더보기 공룡의 분류(3) - 익룡 공룡의 분류 - 익룡 공룡이란 중생대의 대형 파충류 가운데 육지에서 생활한 것만을 가리킨다. 익룡(翼龍)이나 어룡(漁龍), 수장룡(首長龍) 등을 공룡의 무리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은 다른 계통이다. 정확하게는 골반의 형태에 따라 분류한 용반목(龍盤目)과 조반목(鳥盤目) 무리만이 공룡으로 정의되고 있다. 공룡의 분류나 계통도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다른 견해를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통일된 것은 없다. 엄밀한 의미에서 공룡은 아니지만 여기서는 익룡에 대해서 알아보자. 중생대의 하늘을 지배한 파충류가 익룡이다. 익룡은 새처럼 날개를 가지고 있어서 하늘을 날 수 있었는데 날개는 새보다는 박쥐의 날개와 비슷하였다.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출현하였고 쥐라기, 백악기에 번성하였다. 익룡은 몸집이 거대한 반면 뼈 속이 .. 더보기 공룡의 분류(2) - 조반목 공룡의 분류 - 조반목 공룡이란 중생대의 대형 파충류 가운데 육지에서 생활한 것만을 가리킨다. 익룡(翼龍)이나 어룡(漁龍), 수장룡(首長龍) 등을 공룡의 무리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사실은 다른 계통이다. 정확하게는 골반의 형태에 따라 분류한 용반목(龍盤目)과 조반목(鳥盤目) 무리만이 공룡으로 정의되고 있다. 공룡의 분류나 계통도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다른 견해를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통일된 것은 없다. 여기서는 조반목에 속하는 공룡에 대해서 알아보자. 1. 조각류 (1) 이구아노돈과 오우라노사우루스(Ouranosaurus) - 용맹스런 도마뱀 서아프리카에서 화석이 발견되며 백악기에 살았다. 등에 가지런히 솟은 부채 모양의 돌기가 특징적이다. 이 돌기는 체온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생김새는 .. 더보기 이전 1 ··· 127 128 129 130 131 132 133 ··· 137 다음